소리로 빚은 고딕 히로인, 음향 미학을 파헤치다
서론
2022년 공개 이후, 웬즈데이(Wednesday) 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미스터리한 인물 웬즈데이 아담스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는 고딕적인 매력과 10대의 불안, 초자연적인 요소, 그리고 섬뜩한 유머를 절묘하게 결합하며 시청자들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의 흥행 요소는 단지 탄탄한 스토리나 배우들의 열연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바로, 철저히 계산된 ‘사운드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사운드 디렉터의 입장에서 보면, 웬즈데이는 소리 자체를 강력한 스토리텔링 도구로 활용하며, 각 장면의 감정, 리듬, 분위기를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시리즈의 인기 요인을 사운드 연출의 측면에서 분석하며,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은 핵심적인 세 가지 음향 요소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1. 웬즈데이 아담스의 사운드 시그니처: 캐릭터를 소리로 설계하다
이 시리즈에서 가장 인상적인 점 중 하나는, 주인공 웬즈데이 아담스의 성격이 단순한 대사나 표정이 아닌, 그녀만의 독특한 음향 환경으로도 표현된다는 점입니다. 그녀가 등장하는 장면에는 종종 미니멀하고 오싹한 음색의 피치카토 현악기, 테레민의 으스스한 울림, 낮게 깔린 배경 속 속삭임 등이 함께합니다. 이처럼 섬세하게 설계된 사운드는 웬즈데이를 세상과 분리된 인물처럼 느끼게 하며, 그녀의 차갑고 이성적인 성향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예를 들어, 네버모어 아카데미 복도를 걷는 그녀의 발소리는 살짝 증폭되고 지연되어, 마치 그녀의 걸음 하나하나가 철저한 계획 아래 이루어지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또한 대니 엘프먼(Danny Elfman)과 크리스 베이컨(Chris Bacon)이 함께 작곡한 배경 음악은 의도적으로 절제되면서도 풍부한 질감을 유지해, 그녀의 ‘침묵’조차 의미를 가지게 합니다. 이러한 섬세한 접근은 웬즈데이를 단순한 화면 속 캐릭터가 아닌, 우리가 ‘듣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듭니다.
2. 살아 숨 쉬는 고딕 세계: 공간을 채우는 환경 사운드
웬즈데이의 고딕적인 미장센은 훌륭한 미술과 영상미뿐 아니라, 정교하게 디자인된 환경음 덕분에 더욱 실감 납니다. 삐걱거리는 나무 바닥 소리, 숲 속을 스치는 바람의 잔향, 낡은 성 같은 학교의 기묘한 울림까지—각 공간은 독립적인 사운드 레이어로 구성되어, 시청자가 단순히 '보는' 수준을 넘어 작품 속 공간에 들어간 듯한 경험을 하게 만듭니다.
특히 기숙사 장면에서는 단순한 정적음(룸 톤)이 아니라, 낮고 일정한 드론음으로 불안감을 조성합니다. 포컵(Poe Cup) 경주 장면에서는 관중의 메아리, 물이 튀는 소리, 멀리서 들리는 울부짖음 등이 겹쳐져, 유쾌한 장면 속에도 초자연적인 분위기를 불어넣습니다. 이처럼 현실감과 판타지를 동시에 구현한 음향 설계는 작품의 다크 판타지 세계관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3. 긴장, 유머, 리듬을 조율하는 다이내믹 사운드 큐
이 시리즈에서 또 하나 돋보이는 점은 장면의 리듬과 감정을 제어하는 사운드 큐의 활용입니다. 괴물이 등장하기 직전의 정적, 불쑥 튀어나오는 강한 효과음, 왜곡된 메아리 등은 시각적인 공포보다 오히려 청각적인 심리 압박을 유도하며, 관객의 긴장감을 극대화합니다.
반면, 코미디 요소에서는 순간적인 침묵이나 가벼운 악기 소리를 통해 위트를 더합니다. 특히 웬즈데이의 무표정한 한마디나 룸메이트 이니드와의 대화 장면에서는 이러한 사운드 타이밍이 절묘하게 작동해 웃음을 유발합니다. 이는 단순한 효과음이 아니라, 사운드 믹싱의 세심한 설계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장면마다 고유의 사운드 아이덴티티를 부여한 이 작업은 시청자가 몰입을 유지하도록 돕는 강력한 장치입니다.
결론
넷플릭스 시리즈 웬즈데이의 흥행은 단지 이야기의 힘이나 배우들의 연기만으로 이뤄진 것이 아닙니다. 캐릭터의 정체성을 소리로 구축하고, 고딕적 세계관을 소리로 확장시키며, 리듬과 감정을 조절하는 정교한 사운드 디자인이 작품 전반에 깃들어 있습니다. 대다수의 시청자에게는 무의식적으로 작동하겠지만, 사운드를 설계하는 입장에서는 이 시리즈가 얼마나 섬세하게 만들어졌는지 명확히 느껴집니다.
웬즈데이는 현대 TV 시리즈 사운드 디자인의 새로운 기준이라 할 수 있으며, 오싹하고도 유쾌하며 완성도 높은 오디오 아트워크의 결정체입니다.
'드라마(Dra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웰브(Twelve) (2025)> 12지신의 부활, 한국형 액션 히어로의 새로운 시작 (2) | 2025.08.03 |
---|---|
시리즈<트리거 (Trigger) (2025)> 총성이 시작되면, 누구도 안전하지 않다 (2) | 2025.07.27 |
<S라인 (2025)> 귓속을 파고드는 진실, 청각으로 완성된 범죄 심리 스릴러 (1) | 2025.07.05 |
<신데렐라 클로젯 (2025)> 사운드로 다시 쓰는 동화, 감성의 옷장을 열다 (3) | 2025.07.05 |
드라마<러닝메이트 (I Am A Running Mate)(2025)> 교실 정치, 소리로 완성된 드라마 (1)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