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생소비지원금 사용처 총정리
정부는 2025년 7월 5일 ‘공공복지 회복 소비쿠폰 선지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기본 15만 원이 지급되며, 소득 및 지역 조건에 따라 최대 45만 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지급되는 소비쿠폰을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 드립니다.
✅ 사용 가능한 업종 및 장소
공공복지 회복 소비쿠폰은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제로페이 가맹점, 지역화폐 등록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1. 생활 소비
- 전통시장
- 동네 슈퍼, 중소형 마트
- 문구점, 잡화점
- 제과점, 소규모 카페
2. 음식 및 외식
- 일반 음식점 (분식, 한식, 중식 등)
- 가맹 형태 프랜차이즈 일부 (지자체 등록 여부에 따름)
3. 건강·의료
- 약국 (지자체 등록)
- 동네 병·의원, 치과, 한의원
- 안경점, 보청기 전문점
4. 교육·보육
- 피아노·미술·보습학원 등 (지자체 등록 시 사용 가능)
- 일부 어린이집, 유치원
5. 서비스
- 이·미용실
- 세탁소
- 지역 택시 (제로페이 탑재 차량)
❌ 사용 불가 업종
- 대형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 백화점 (신세계, 현대, 롯데 등)
- 온라인 쇼핑몰 (쿠팡, 11번가 등)
- 대기업 직영 프랜차이즈 (스타벅스 등 일부 매장)
- 유흥업소, 카지노, 고급 호텔, 골프장 등
📌 사용 안내
- 사용 기한: 지급일로부터 3개월
- 지급 형태: 선불카드 또는 모바일 지역화폐
- 사용 가능 매장 확인:
- 지역사랑상품권 앱 (예: 경기지역화폐, 제로페이 등)
- 거주지 시·군·구청 홈페이지
-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반응형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대한민국 봄맞이 숙박세일페스타> 할인권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2) | 2025.03.04 |
---|---|
2025년 2월 <소상공인 정책자금> 신청 방법 (3) | 2025.01.31 |
"2025년 정부 지원 혜택 활용 방법" (2) | 2025.01.24 |